애플2007. 9. 8. 15:05
며칠전 애플에서 새로운 아이팟 발표와 함께 아이폰의 가격을 200달러 내렸었는데요..

(이걸 보고 많은 기존 유저들이 황당해 했을것으로 봅니다.. 무려 출시 2달만에 200달러가 내리다니요..)

애플에서 기존 아이폰 유저에 대한 100달러 스토어 크레딧을 주기로 결정했군요..

다음주중으로 준비된다고 합니다 ^-^




p.s. 그리고, 남은 4Gb버전의 아이팟을 $299 에 판매 하고 있더군요...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9. 8. 15:04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미 인간의 체온을 넘었습니다..

올들어 가장 더운 날인것 같습니다 ㅠㅁㅠ
덕분에 에어콘을 풀로 틀어도 그닥 시원하지가 않네요 ㅠㅠ


-_- 이젠 집에 못있겠습니다..
시원한 도서관으로 피신해야 될까봐요...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9. 4. 09:40
요즘들어 자주 느껴지는 지진입니다.

특히 진도 4.7의 지진은 확실히 느껴지네요.
 3.2  2007/09/03 08:30:23 33.922N 117.766W  0.8    5 km ( 3 mi) NNE of Yorba Linda, CA
 4.7  2007/09/02 10:29:14 33.733N 117.476W 12.3   13 km ( 8 mi) WNW of Lake Elsinore, CA

위 리스트 말고도 전에 몇번 더 있었죠...


지진날때마다 들리는 사이트가 하나 있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http://quake.usgs.gov 이곳에 재밋는게 있습니다

"Did you feel it?" 제보같은건가 봅니다..

다음번엔 제가 한번 제보를 ^^;;


참고로 지진이 일어난뒤 바로 접속해보면 바로 갱신되어 오진 않더군요...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8. 13. 18:29
항상 세일 소식이 들려오면 사고 싶었던것중에 하나인데, 요즘은 알바도 하고 ^-^;; 가격도 착해서(43불),, 이러저러한 이유로 구입하고 싶었던걸 구입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깨끗하고 흠도 없어보이지만,,
제손에 들어오기까지 꽤나 힘든 여정을 거쳤습니다..
택배 기사가 하숙집의 특이한 구조를 이해 하지 못하고 이틀을 연이어
배달실패하고 돌아갔다죠 -_-;;
그리곤, 3일째 메모를 남기더군요... "픽업해가라 -_-"
결국 창고가서 찾아 왔습니다 ㅠ_ㅠ

뭐 종종 있는 일인지라...이젠 익숙해졌죠....
(예전에 폴프랭크 선글래스는 반송까지 되서 판매자가 다시 보내주는 사태까지;;)
아뭏튼 비하인드 스토리는 여기까지...

RS100
대략적인 스펙은 제조사의 제품설명부분을 뽀려왔습니다 ^^;;;



친절하게도 고해상도의 제품사진도 제공하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대략 저렇게 생겼습니다~ 가운데 보이는게 베이스 스테이션이구 저기서 쏘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오른쪽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편의 헤드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 쿠션을 제거 하면 AAA형식의 베터리를 넣게 되있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늘어나는 길이는 저정도~


역시나 가장 맘에 든건,,,

무선 헤드폰의 장점이겠죠 ㅎㅎㅎ

그런데 생각만큼 음색이 깨끗하다던가 그런건 못느끼겠더라구요..
그냥 깨끗한 FM 스테레오 라디오를 듣는 느낌이에요;;;

그래도 선이 없으니깐..무척편하네요..
방안에서도 돌아다닐때 편하고
식사할때도 그대로 쓰고 식사할수도 있구...
심지어 화장실갈때도... -ㅁ-

작동하는 방식은..베이스 스테이션에서 RF를 쏴주고
헤드폰에서 받는방식인것 같구요

레인지!! 제조사에서는 80m 라고 하네요;;
그래서 시험삼아 쓰레기 버리러 갈때 착용하고 나가봤는데요..
대략 100m는 되는듯했네요;; 물론 가끔 지직거리긴 했지만요

아뭏튼 간만에 지른 물품이라 이런글도 쓰고,, ^-^;; 좋네요
Posted by jinoh
수업2007. 8. 4. 06:57

 사람의 인체를 들어 설명하자면, 생명현상과 직접 관계가 깊은 효소는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고, 단백질은 아미노산(amino acid)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아미노산의 기본구조는 펩티드 결합(peptide bond)이다. 펩티드 결합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수소결합력이 강하므로 단백질이 일정한 모양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수소결합의 강력한 분자간 인력으로 인체의 세포 하나하나 속의 분자들은 수소결합의 분자간 인력으로 그 모양을 유지하며, DNA의 double helix도 수소결합에 의해 그 고리모양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수소결합에 의해 세포내 분자들이 존재할수 있고, 그로인해 세포가 만들어질수 있으며, 인체가 유지될수 있는것이다.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8. 4. 06:27
인제대 의대 서울백병원 김철환 교수(가정의학과)가 소개하는 알콜농도 계산법에 의하면, 혈, 알콜농도=(주류의 알콜농도(%)x마신양(ml)x0.8)/(0.6x체중(kg)x1000)) 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체중 70kg인 남자가 맥주를 1천cc를 마셨다면,
(4.5 X 1000 X 0.8) ÷ (0.7 X 70 X 1000) = 0.086%로서 면허정지에 해당된다.

또 혈중 알코올 농도는 시간당 평균 0.015% 내려간다는 것이 학계의 연구결과 따라서,
체중 70kg인 사람이 맥주 1천cc를 마셨다면 적어도 2시간 반이 지나야 혈중 알콜농도가
처벌 기준인 0.05% 밑으로 내려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민간요법으로 전해지고 있는 껌이나 초코렛 등의 요법은 냄새제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지 모르나 혈중 알콜농도를 떨어떠리는데는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즉, 알코올 분해에는 절대적인 시간이 꼭 필요하다.
 한국의 음주운전 처벌 기준
-혈중 알콜농도 0.1% 이상 면허취소 및 벌금


캘리포니아 법에는
For how long will my driving privilege be suspended if I took the chemical test?

If you are 21 years of age or older, took a blood or breath test, or (if applicable) a urine test, and the results showed 0.08% BAC or more:

  • A first offense will result in a 4-month suspension.
  • A second or subsequent offense within 10 years will result in a 1-year suspension.

혈중알콜농도 0.08%일경우 음주 단속에 걸리면 체포 될수 있습니다..

Posted by jinoh
애플2007. 7. 27. 15:56

뭐.. 매일같이 확인하는 메일 함 인데.. 오늘은 재밋는 메일이 하나 와있더군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힐리오에서 온 메일이죠...

아이폰이 오션과 만났다? 여기서 오션은 요즘 힐리오가 밀고 있는 기기랍니다~ ^-^/

아이폰을 무지 사고 싶어하는 놈한테 이런 메일을 보내다니 -ㅅ-///

이건 무조건 블로깅 감이다!!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_-;;

그리곤 메일을 열어봤죠..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대충 이런 내용이였습니다..;;;

구글 GPS야 힐리오는 다 된다고 하는데 힐리오 쓰는 사람들한테 물어보니 거의 안쓴다더군요;;;

뭐 베터리가 너무 빨리 단다나?? -_-

여튼 신기하게 생긴놈인건 분명합니다!!! 그래서 비교를 클릭~~해보니

사용자 삽입 이미지

뭐 이정도;; 아이폰은 죄다 NO 이군요 -_- 뭐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고 그런데
왠지 아이폰만 죄다 NO인거 같은 느낌이 드는건 왜;;;

그래요.. 만약제 저라도 아이폰을 모른상태에서 그리고 새로이 핸드폰을 구매할려고 하는상황에

이런걸 봤으면 절대 아이폰은 안살려고 할겝니다 -_- ;;;;
(전 이미 아이폰을 만져보기까지 해서 ㅠ_ㅠ 엉엉 돈없어서 글치;; 돈만 있다면!!!!!!)

여하튼...판단은 소비자가 하는거죠 -ㅁ-//

힐리오 미국서 유일한 우리나라 업체인데 ㅠㅠ
좀더 분발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ㅠ_ㅠ


Posted by jinoh
수업2007. 7. 25. 06:51
7/23 고혈압, 당뇨약

140/90 이상을 고혈압으로 정의합니다.
White gown sx 흰 가운 신드롬... -_-
peripheral resistance(co->HR * SV) cardiac output (P.R.)

고혈압 환자의 대다수는 본태성, 일차성 고혈압입니다(원인불명)
일부 젊은사람들의 고혈압 같은경우는 신장기능의 고혈압 이상으로 옵니다.

신장에는 혈압계가 있는데 그 원리가 RAA system(Renin Angiotensin Aldosteron)
사구체의 보먼주머니 동맥인데 가늘다!! 평균 혈압이 30mmHg 정도 된다고 함

혈압이 떨어진다...
JR cell이 Renin을 불어내->Renin->angeotensinogen ->폐에서 angiotensin I으로 변환 -> 간에서 angiotensin II로 변환(소동맥을 수축시키는 힘이 강함) -->algosteron을 자극(부신) -->간에서 소듐의 재흡수를 증가시킴
↓는 또다른 정리 -_-
혈압이 떨어져 출혈이 심하다, 돌연 졸도-->말초소동맥이 확 열려서 저려됨
신장->juxtaglomerulor cell ->Renin ->폐의 알비올라cell ->Angiotensinogen->angiotensin I -> 간 AGII (수축시키는 힘이 강함)->Aldosteron을 자극(부신) ->간->소듐의 재흡수를 증가

교감신경
(항진)->심장->심장근육에 B1리셉터가 있다(<-교감신경수용체) norapineprin분비 심장의 수축을 강화->동방결절에 자극을 줘서 심장을 더빨리 뛰게 한다 common cardiac ant의 압력미터를 자극

말초에서는 a를 자극 알파 블로커를 조절하는 약을 먹으면 (기립성 저혈압) 부작용이 생김

고혈압->신장이 망가져, 심장(점점 커지거나, 축쳐져 힘이 없어짐).->폐부종, 뇌부종

1.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2차고혈압약 AGII의 생성을 억제)
ACCUPRIL(quinapril) ALTACE(ramipril) CAPOTEN(captopril)
Lotensin(benazepril), Prinivil(lisiopril), Vasotec(enalapril)
MONOPRIL(fusinopril) PRINIVIL(lisinopril) UNIASC(moexipril)
VASOTEC(enalapril) ZESTRIL(lisinopril)

2. Beta blocker (1차 고혈압 약 심장 자체의 교감신경 리셉터를 차단시켜서 무대공포증을 없애줄수도 있음; 항상 긴장상태에 있는 환자는 결국 고혈압 환자로 돌아서게 됩니다.. 교감신경이 항상 흥분상태이므로)
BLOCADREN(timolol) CARTROL(carteolol) CORGARD(nadolol) INDERAL(propranolol)->1st
KERLONE(betaxolo) LEVATOL(penbutolo) LOPRESSOR(metoprolol) TOPROL(metoprolo) ZEBETA(bisoprolol)

3. CALCIUM CHANNEL BLOCKER(칼슘채널은 주로 근육세포에 있는데 심, 소동맥의 근육수축에 관여해 수축하는 정도를 떨어뜨려 혈압을 낮춤)
ADALAT(nifedipine) CALAN(verapamil) CARDIZEM(diltiazem) CARTIA(diltiazem) COVERA(vereapamil) DILACOR(diltiazem) DYNACIRC(isradipine) PLENDIL(felodipine) TIAZAC(diltiazem) VERELAN(verapamil)
NORVASC(amlodipine)젤 많이씀, PROCARDIA(nifedipine)2번째로 많은사용

4. Diuretics(이뇨제, 고혈압 1차약, Aldosteron의 반대역할로서 소듐흡수를 차단시킴)
DIURIL(chlorothiazide) LOZOL(indapamide) ZAROXOLYN(metolazone) ALDACTAZIDE(spironolactone+hct) dYAZIDE(triamterene+hct) BUMEX(bumetanide)
LASIX(furosemide);강력한 이뇨제

5. Angiotensin 2 inhibitor 기침부작용을 없앤약, 소동맥, 부신에 작용
Atacand(candesarta) Avapro(irbesartan), Cozaar(losartan) Diovan(valsartan)

6. Alpa 1 blocker (부작용으로는 기립성 저혈압이 있을수 있습니다, 소동맥에 알파리셉터, 소동맥 수축의 이완역할)
Cardura(doxazosin) Flomax(tamsulosin) Hytrin(terazosin) Minipress(prazosin)

7. Combination with HCT(hydrochlorothiazide) 이뇨제를 섞은약들
avalide(irbesartan) Capozide(captopril) Diovanhct(valsartan) Hyzaar(losartan)
Inderide(propranolo) Lotensinhct(benazepril) Minizide(prazosin+polythiazide)
Moduretic(amiloride) Vaseretic(enalapril) Zestoretic(lisinopril) Ziac(bisprolol)

8. Acei + CCB
Lexxel(enalapril+felodipine) Lotrel(benazepril+amlodipine)

9. Alpha 2 Agonist 중추신경에 작용해서 교감신경을 차단
Catapress(clonidine)


당뇨병은 공복시 혈당을 잽니다 (밤 8시 이후 10시간)
126mg/dl보다 높을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 (AVG 70~110mg/dl)
Life style modification(LSM)으로 여러번 검사후 진단합니다.

1. 1st(generation) SULFONYLURIA
DIABINESE(chlorpropamide) TOLINASE(tolazamide)

2. 2nd SULFONYLURIA
ACTOS(pioglitazone) AVANDIA(rosiglitazone) AMARYL(glimepiride) DIABETA(glyburide)
GLUCOTROL(glipizide) GLYNASE(glyburide) MICRONASE(glyburide) PRANDIN(repaglinide)
STARLIX(netaglinide)

3. BIGUANIDE(인슐린 촉진 효과는 없음)
GLUCOPHAGE(metformin) 거의 대부분의 인슐린 typeII약 하루 2~3회 복용함

4. COMBINED
GLUCOVANCE(glyburide + metformin) METAGLIP(glipizide+metformin)

당뇨약은 두가지가 있음
당뇨병의 종류에 따라 바뀜
Type I 당뇨병은 인슐린의 투여
Type II 당뇨병은 경구투여약을 사용(단백질의 리셉터의 수의 감소로)

glucose를 받아들이는 recepter가 특정 단백질에 pore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것이 열리게 하기 위해선 insulin이 필요함

저혈당이 가장큰 부작용임 (맥박이 빨라지고 ->COMA ->사망)
COMA로 응급으로 올경우 50%dextrose와 산소를 인젝
opioid(마약류)에 의한 코마는 naloxone
Posted by jinoh
수업2007. 7. 25. 06:45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약물
Agonist(효현제) antagonist(억제제)

신경계란... 내분비계와 신경계로 나뉘는데
내분비계는 호르몬을 분비하고, 신경계는 신경전달물질인 뉴로트랜스미터를 분비한다.

홀몬은 혈액을 따라 target organ으로 가고

그예로 갑상선 자극홀몬같은경우 다른곳으로 가는데 갑상선에만 그 리셉터가 있어 갑상선에만 작용하게 된다.

신경전달물질과 수용체도 굉장히 specific 해서 딱 1:1로 맞는다.
ex) 에피네프린 교감신경자극홀몬
수용체에 맞아서 기능을 나타내는것이 효현제..
실제로 효현제는 약물로서 많이 사용될수 없습니다..너무 약성이 강해서 부작용이 심하다.
그 예로 교감신경절 예로 혈압이 상승하면서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설사와 눈물콧물 막 나오고 그럽니다. 그래서 효현제를 많이는 쓰지 않고 억제제를 많이 씁니다. 약물의 종류도 억제제가 많습니다.


신경계를 한번 보면
중추신경계의 특징이라면 뼈에 둘러 싸여있으면 중추신경계, 아니면 말초신경계
brain 안에 있는것은 중추신경계, 등뼈에 척추 속에 있는것은 중추신경계 여기서 신경이 빠져 나오는데 거기서부터는 말초신경으로 분류됩니다.
교감신경, 부교감신경, 자율신경으로 또 나눌수 있는데 총분류는 시상하부에 있습니다. 척수에서 바깥으로 나온다음에 교감신경은 교감신경절을 이루고 부교감 신경은 부교감 신경절을 이룹니다.

절은ganglion라고 하는데,,, S2,3,4, pelvic nerve(여기에 부교감 신경이 들어있다)
부교감 신경절 (CN 3,7,9,10 신경속에 묻혀 있다. 대장의 반쪽까지 내려간다)
신장은 절후섬유가 길다

부교감은 절전 절후가 1:1이다 (63page)

외배엽 - 혈관신장, 혈관계, 정소, 뼈로 육
중배엽 -
내배엽 - 소화기계, 호흡기계 (자율신경계가 담당)

교감신경의 리셉터 아세틸콜린 -->니코틴 니코티닉리셉터 무스카린리셉터
알파와 베타 리셉터의 역할...

69~70page 수용체 개념
아드레 날린이랑 콜린, 레날 -->신장
콜린은 콜린 노직(erg) 콜린이랑 비슷한 힘을 가진 agonist, entagonist
레날은 부신에서 나타난 에피네프린, 교감신경작용이 있는 약을 아드레로직 리셉터

타이라민-nor에피네프린, 숙성된 치즈, 포도주(붉은)
p69 무스카린성 수용체
p70 니코틴성 수용체 -->각신경절

절전 - 아세틸 콜린 리셉터 니코틴
절후 - 리셉터 - 무스카린
부교감신경 내지는 소마틱 널브 니코틴 리셉터에 자극하는 약물 넣어 약간 복잡하다 beta blocker


부교감 신경중 아세틸 콜린 리셉터에 작용하는 물질이구나...하고 알아두센

예로 버섯 독중 무스카린 -->절후수용체에 붙어 작용하는
부교감 신경 항진(물이 많이 나옴)
교감신경 항진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7. 17. 14:40

대한항공에서 2009년부터 보잉의 DREAMLINER 787기를 도입한다고 합니다..
유선형의 날개가 특이한 이 항공기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아래는 대한항공 홈피에서 -ㅁ-;

차세대 첨단 항공기 B787에는 환경보호에 대한 노력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고효율의 첨단엔진으로 소음이 적어 조용하고, 첨단 탄소복합소재를
사용하여 동급의 항공기에 비해 20%의 연료 절감효과가 있는 B787은
환경 친화적인 항공기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차세대 첨단 항공기 B787, 보다 편안한 비행의 새 장을 열어 갑니다.

 B787에는 기존 항공기보다 20% 커진 창문, 높은 천장, 첨단 조명 시설과
넉넉한 객실, 수하물 선반으로 공간 효율성과 쾌적성을 높였습니다.
또한 객실 내부의 습도와 기압을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안구 통증이나갈증, 실내 건조함을 감소시켜 보다 건강하고 편안한 비행
돕게됩니다.

 대한항공은 현재 10대의 787-8 항공기를 주문하였으며,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입니다. 첨단기술과 뛰어난
연료효율성을 가진 미래형 항공기 787은 2010년까지 세계 항공업계를 주도하는
항공사로 도약하려는 대한항공의 목표와 부합할 뿐 아니라 편안함을 추구하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기내 환경과 쾌적한 비행의 즐거움을 제공할 것입니다.


http://kr.koreanair.com/KALMain/etcAsp/event/200707/B787/m04_plus.asp

재미있는것은 요즘 787 도입 기념으로 이벤트를 하더군요 .ㅁ.

눈길이 가는건.. 서울-미주 왕복노선이 78만7천원이라는거 -ㅁ-///

이참에 어머니한테 오시라구 바람쫌 넣어봐야겠습니다 ^-^~

Posted by jin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