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23건

  1. 2007.07.16 Brandi Carlile
  2. 2007.07.15 전자배치 (Electron Configuration)
  3. 2007.07.14 pharm 2
  4. 2007.07.06 laboratory values
  5. 2007.07.04 Introduction 1
  6. 2007.06.30 라타투이(Ratatouille : Rat-a-too-ee)
  7. 2007.06.23 Wicked 뮤지컬~~
  8. 2007.06.23 구글 애드센스 포기하다... 9
  9. 2007.06.20 joost IPTV 서비스
  10. 2007.06.17 도서관으로 피서...
카테고리 없음2007. 7. 16. 07:37
처음으로 Brandi Carlile 을 접한건 아이튠즈 Free music 코너에서 였습니다...
보통 다른분들은 그레이 아나토미 라는 드라마에서 많이 접하셨더라구요...

아이튠즈 스토어에서는 일주일에 한번씩 Free music week 라는 이름으로 노래들을 공짜루 하나씩 나눠주죠.. 뭐.. 공짜음악이야 주면 고마우니깐 항상 받아놓긴 합니다~.

그렇게 아무 생각 없이 받다가 종종 이런 좋은 음악들이 발견되기도 ^-^
The story 입니다~~ /ㅁ/

격정적인 목소리 약간은 radio head 분위기도 나고 말이죠 -ㅁ-;;;
뭐.. 여자보컬이라 더 맘에 들었는지도 모릅니다 ^-^ (꽤 이쁜?)_-_

9월 11일 12일에 LA에서 작은 미니콘서트 한다니 친구 댈꾸 한번 가봐야 겠습니다 ^-^
팬서비스도 장난 아니라던데 /ㅁ/ 기대기대..

사용자 삽입 이미지


Posted by jinoh
수업2007. 7. 15. 08:42
네!!! 안녕하세요 -ㅁ-// 재밋는 전자배치 입니다..

전자배치를 배우기전에 양자수에 대한 개념부터..

  • 양자수(Quantum Number)
양자 수는 입자가 존재할 수 있는 위상공간(phase space)의 좌표입니다. 스핀(spin) 1/2인 페르미온(fermion) 입자는 한 양자상태에 한개 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스핀이 1인 보존(boson)입자는 동일한 양자상태에 여러개가 존재할수 있습니다.

한국말인데도 어렵네요.. -ㅁ-;;;

  • 파울리의 배타율(Pauli's Exclusion Principle)
스핀(spin) 1/2인 페르미온(fermion)은 한 양자 상태에 한 개밖에 존재할 수 없습니다.

오비탈
원자핵 주위의 각 전자껍질에 분포되어 있는 전자의 배열 양식 입니다.
  1. 주양자수(Principal Quantum Number) - 전자껍질 n (1,2,3,4,... =K,L,M,N,...)
  2. 방위 양자수(Angular momentum quantum number) l=0,1,2,...,(n-1) (0,1,2,...=s,p,d,f,g,,,)
  3. 자기 양자수(Magnetic quantum number) m= -l,-l+1,...,0,1,2,l-1,l
  4. 스핀 양자수(Spin quantum number) s=1/2(↑), -1/2(↓)

예로.. n=2일 경우 l=0,1
                         l=0 이면 m=0 ==>2S
                         l=1 이면 m=-1,0,1 ==>2px, 2py, 2pz (x,y,z 는 편의상)
                               각각 m 에 대해서 s= ↑↓

전자배치(Electron configuration)
  • p 오비탈은 3개의 부오비탈(sub-orbital)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3x2=6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 d 오비탈은 5개의 부오비탈을 가지고 있어, 5x2=10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 f 오비탈은 7개의 부오비탈을 가지고 있어, 7x2=14개의 전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 s와 p오비탈이 채워져 최외각 전자(covalence electron)가 모두 8개가 되면 원자는 화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전자배치를 가지게 됩니다. 이것이 Octet rule !!

예를 몇개 들어봐야겠습니다.
산소(oxygen)는 원자핵의 양성자수가 8로서 모두 8개의 전자를 가지며 질량수는 16입니다.
n=1 l=0 m=0   1s2 ==>2
n=2 l=0,1 m=-1,0,1  2s2 2p6(2Px2 2Py2 2Pz2) ==>8
n=3 l=0,1,2 m=-2,-1,0,1,2 3s2 3p4(2Px2 2Py1 2Pz1) ==>6
1s2 2s2 2p6 3s2 3p4 이렇게 전자배치 완료~

이번엔 칼슘을 해봅시다~
아까와 같이, 1s2 2s2 2p6 3s2 3p6 ==>여기까지 18개의 전자배치가 됐습니다. 나머지 두개는?
아래에 나올 에너지 준위와 관련이 있는데 4s2가 나오게 됩니다.. 그리하여 1s2 2s2 2p6 3s2 3p6 4s2

훈트의 법칙(Hund's Rule)
짝짓지 않은 전자인 홀전자가 많을 수록 전자 사이의 전기적 반발력이 작아서 안정하기 때문에 에너지 준위가 같은 오비탈에는 홀전자가 많아지도록 전자가 한 개씩 채워진 후에 스핀이 반대인 전자가 쌍을 이루어 채워진다.

<여기 재밋는 영상이 하나 있습니다.. 에너지 준위를 설명 해 놓았군요..>

이 영상에서 보면 3d 가 나오지 않고, 4s 가 먼저 나오게 되는데요..
n=4의 Low state는 n=3의 High state 보다 먼저 채워지게 되는데 에너지 준위가 낮은 4s를 먼저 쓰게 되는군요! 이러면 19, 20번 원자의 전자배치가 이러하다는걸 알겠죠.. K 1S2 2S2 2P6 3S2 3P6 4S1 Ca 1S2 2S2 2P6 3S2 3P6 4S2, 그리고 21번 원자는 4S2 다음에 3D1 이 오게 됩니다 ^-^//

Posted by jinoh
수업2007. 7. 14. 06:37

먹는약과 먹지않는 약 경구와 비경구 약으로 나뉨
저번시간에 한 것, 간에 영향을 미치는것들

 

Ph에 대해

산이 알칼리 상태에선 수소를 자꾸 내보냄 수소를 붙잡고있는상태에서 산은 산성물질에서 수소이온을 내지 않으려하고(밖에 있는 수소가 많기에) 예를 들어 어떤 약물을 먹었다. ASA의 경우는 산인데 많이 먹었을경우 병원에서 위세척을 하게 되는데(3시간 지난후에는 소용없음)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싶다à아세틸기가 떨어져나가고 살리실린 ACID 가 십이지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나머지 일부는 소장에서 흡수, 일단 흡수되고 나면 간문맥을 통해 해독작용을 거치게 된다 다량의 섭취는 간에 좋지않은 영향을 끼침

 

BBB의 리뷰

 

우리몸에서 맞지않는게 분명하다, ? 독이므로 간에서 해독하기 어렵고 몸은 그걸 배출하려고 한다. 가장많이 배출되는곳은 소변, 혈액을 뽑아서 약물의 농도를 측정할수 있음, 운동선수들의 도핑테스트가 그 예.

 

첫번째 핸드아웃 뒤에서 2번째 Nasids

류마토이드 관절염 : 관절낭을 망가트려 인플라네이션 반응이 있어 이약을 먹게되면 인플라네이션 반응을 억제시킴

이런계열의 약들중에 소위 아스피린, 아부프로펜(이부프로핀) 이런약들이 어떻게 해서 진통해열 항염작용을 하는지? 염증은 우리몸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면역반응 우리몸의 손상된 조직이나 세포를 원상으로 돌리기 위한 자구책의 일종입니다. 원인이 되는 것은 미생물(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파라사이트) 화학물질, 물리적인 동상,화상 이런것들은 우리몸에서 염증반응을 일으킬수 있습니다.

어떻게 나타나냐 하면은 우리몸의 세포, 조직,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들사이사이에는 간질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세포는 세포막이 있고, 핵이 있고, 핵 막이있고, 핵이 가장중요하고 세포질이 있으면서 세포막이 겉을 싸고 있고, 여러가지 손상정도를 보면 세포막이 손상을 당하게 됩니다. 첫번째로 말이죠, 가장 바깥쪽에 있으니 말이죠, 그러나 한예로 간조직의 세포를 보면 간세포의 핵이 살아있으면 세포막까지 재생될수 있습니다. 세포막이 망가지면 세포막에서 물질을 분비하는데, ,,,,,à프로스타글란딘이란 물질이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데 이것은 국소홀몬역할을 하는것으로서, 모세혈관벽을 이완시켜서 혈액의 많은물질들이 세포로 나가게 해준다. (혈관을 이완시킴) 혈장성분이 빠져나오면서 백혈구, 보체도 나올수있을정도가 된다. Nsaidsà프로스타글란딘을 생성할수있게하는 효소분비를 막는다. 결과적으로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대표적인 적용질환은 류마토이드질환,

) 프로스타글란딘의 작용으로 모세혈관을 때리자 마자 세포막손상à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로 빨갛게 부어오름.. 이럴때 진통항염제를 먹으면 가라앉게 된다..

많은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는 열을 가져옴.(미식축구선수의 경기후 열증상)

 

부작용은 과도한 진통제복용시엔 신장을 상하게 됨. Inflamatory reatain 국소염증반응

1-    swelling 2 heat 3 pain 4

 

lipoxyganazeàleukotrien 백혈구를사용 박테리아나 점 같은건

스테로이드는 보통 피부의 염증, 천식(이것은 약간 다른건데 알러지)

그래서 이 nsaids 위벽손상이 심해서 공복에 먹으면 속이 쓰리고, 점막을 손상시켜 혈관출혈이 있을수있음,

 

Cyclooxgenase

위에서 자극반응을 줄였음 celebrex(celecoxib)을 많이 씀

cyclooxgen type2 inhibit 하는 약을 개발했는데 vioox 라는 약은 부작용(혈압상승을 가져와 심근경색을 가져온다는 보고가 있음, 심장마비의 요인이 될수있)이 있었어 그래서 지금은 쓰지 않음 bextra도 지금은 생산치 않음. 그래서 celebrex만 씀

 

APAP 타이레놀

항염작용이 없고, 해열, 진통작용만 있음 류마토이드염증에는 사용치 않음 항염작용이 없기에,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아세트 아미노펜 내지 이부프로펜을 쓰고있음, 예전엔 아스피린을 사용했었는데,바이러스 질환중 수두라던가 독감바이러스 백신을 먹을경우 간이 손상되는데 그것 때문에 나타나는 부작용으로 뇌수막염을 일으킬수 있다고 한다.

 

Combination : 2가지 약물이 결합된 것.

Fioricet(apap+butalbital+caffeine) 편두통약(보통편두통은 유전적인 경우가 많음) 뇌혈관이 커져 이것을 다시 혈관을 수축해야함à카페인이 그것에 도움을 줄수있음

 

Demerol(meperidine) 마약성 진통제(아편성분중 일부를 합성한 것, 이것에서 약간의 성분분석을 한 것이 모르핀이다.)

Posted by jinoh
수업2007. 7. 6. 08:03
21
USMLE Step 1 Laboratory Values
* Included in the Biochemical Profile (SMA-12)
REFERENCE RANGE SI REFERENCE INTERVALS
BLOOD, PLASMA, SERUM
*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PT at 30EC) . . . . . . . . . . . 8-20 U/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0 U/L
Amylase,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25 U/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125 U/L
*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OT at 30EC) . . . . . . . . . 8-20 U/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20 U/L
Bilirubin, serum (adult) Total // Direct . . . . . . . . . . . . . . . . . 0.1-1.0 mg/dL // 0.0-0.3 mg/dL . . . . . . . . . . . . . 2-17 μmol/L // 0-5 μmol/L
* Calcium, serum (Ca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10.2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2.1-2.8 mmol/L
* Cholesterol,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c:<200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5.2 mmol/L
Cortisol,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800 h: 5-23 μg/dL // 1600 h: 3-15 μg/dL . . . . . 138-635 nmol/L // 82-413 nmol/L
2000 h: < 50% of 0800 h . . . . . . . . . . . . . . . . . . Fraction of 0800 h: < 0.50
Creatine kinase,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25-90 U/L . . . . . . . . . . . . . . . . . . . . . . . . 25-90 U/L
Female: 10-70 U/L . . . . . . . . . . . . . . . . . . . . . . 10-70 U/L
* Creatinine,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6-1.2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53-106 μmol/L
Electrolytes, serum
Sodium (N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6-145 mEq/L . . . . . . . . . . . . . . . . . . . . . . . . . 136-145 mmol/L
Chloride (C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5-105 mEq/L . . . . . . . . . . . . . . . . . . . . . . . . . . 95-105 mmol/L
* Potassium (K+)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5.0 mEq/L . . . . . . . . . . . . . . . . . . . . . . . . . . 3.5-5.0 mmol/L
Bicarbonate (HCO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28 mEq/L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28 mmol/L
Magnesium (Mg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2.0 mEq/L . . . . . . . . . . . . . . . . . . . . . . . . . . 0.75-1.0 mmol/L
Estriol, total, serum (in pregnancy)
24-28 wks // 32-36 w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170 ng/mL // 60-280 ng/mL . . . . . . . . . . . . . 104-590 // 208-970 nmol/L
28-32 wks // 36-40 w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220 ng/mL // 80-350 ng/mL . . . . . . . . . . . . . 140-760 // 280-1210 nmol/L
Ferritin,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15-200 ng/mL . . . . . . . . . . . . . . . . . . . . . 15-200 μg/L
Female: 12-150 ng/mL . . . . . . . . . . . . . . . . . . . 12-150 μg/L
Follicle-stimulating hormone, serum/plasma . . . . . . . . . . . . Male: 4-25 mIU/mL . . . . . . . . . . . . . . . . . . . . . 4-25 U/L
Female: premenopause 4-30 mIU/mL . . . . . . . . 4-30 U/L
midcycle peak 10-90 mIU/mL . . . . . . . . . . 10-90 U/L
postmenopause 40-250 mIU/mL . . . . . . . . 40-250 U/L
Gases, arterial blood (room air)
pH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35-7.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H+] 36-44 nmol/L
PCO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3-45 mm Hg . . . . . . . . . . . . . . . . . . . . . . . . . . . 4.4-5.9 kPa
PO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5-105 mm Hg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14.0 kPa
* Glucose,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Fasting: 70-110 mg/dL . . . . . . . . . . . . . . . . . . . 3.8-6.1 mmol/L
2-h postprandial: < 120 mg/dL . . . . . . . . . . . . . < 6.6 mmol/L
Growth hormone - arginine stimulation . . . . . . . . . . . . . . . . . Fasting: < 5 ng/mL . . . . . . . . . . . . . . . . . . . . . . < 5 μg/L
provocative stimuli: > 7 ng/mL . . . . . . . . . > 7 μg/L
Immunoglobulins, serum
Ig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6-390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0.76-3.90 g/L
Ig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80 IU/mL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80 kIU/L
Ig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50-1500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6.5-15 g/L
Ig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345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0.4-3.45 g/L
Iro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170 μ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9-30 μmol/L
Lactate dehydrogenase,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45-90 U/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90 U/L
Luteinizing hormone, serum/plasma . . . . . . . . . . . . . . . . . . . Male: 6-23 mIU/mL . . . . . . . . . . . . . . . . . . . . . 6-23 U/L
Female: follicular phase 5-30 mIU/mL . . . . . . . 5-30 U/L
midcycle 75-150 mIU/mL . . . . . . . . . . . . . 75-150 U/L
postmenopause 30-200 mIU/mL . . . . . . . . 30-200 U/L
Osmolality,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5-295 mOsmol/kg . . . . . . . . . . . . . . . . . . . . . 275-295 mOsmol/kg
Parathyroid hormone, serum, N-terminal . . . . . . . . . . . . . . . 230-630 pg/mL . . . . . . . . . . . . . . . . . . . . . . . . . 230-630 ng/L
* Phosphatase (alkaline), serum (p-NPP at 30EC) . . . . . . . . . . 20-70 U/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70 U/L
* Phosphorus (inorganic),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3.0-4.5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1.0-1.5 mmol/L
Prolactin, serum (hPR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ng/m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 μg/L
* Proteins, serum
Total (recumbe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7.8 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60-78 g/L
Album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5.5 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55 g/L
Globul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3.5 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3-35 g/L
Thyroid-stimulating hormone, serum or plasma . . . . . . . . . . . 0.5-5.0 μU/mL . . . . . . . . . . . . . . . . . . . . . . . . . 0.5-5.0 mU/L
Thyroidal iodine (123I) uptake . . . . . . . . . . . . . . . . . . . . . . . . 8%-30% of administered dose/24 h . . . . . . . . . . 0.08-0.30/24 h
Thyroxine (T4),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12 μ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4-155 nmol/L
Triglycerides,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160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0.4-1.81 mmol/L
Triiodothyronine (T3), serum (RIA) . . . . . . . . . . . . . . . . . . . 115-190 ng/dL . . . . . . . . . . . . . . . . . . . . . . . . . 1.8-2.9 nmol/L
Triiodothyronine (T3) resin uptake . . . . . . . . . . . . . . . . . . . . 25%-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25-0.35
* Urea nitrogen, serum (BUN) . . . . . . . . . . . . . . . . . . . . . . . . 7-18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2-3.0 mmol urea/L
* Uric acid, ser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8.2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0.48 mmol/L
22
USMLE Step 1 Laboratory Values (continued)
REFERENCE RANGE SI REFERENCE INTERVALS
BODY MASS INDEX (BMI)
Body mass inde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dult: 19-25 kg/m2
CEREBROSPINAL FLUID
Cell cou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 cells/mm3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 x 106/L
Chlorid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8-132 mEq/L . . . . . . . . . . . . . . . . . . . . . . . . . 118-132 mmol/L
Gamma globul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2% total proteins . . . . . . . . . . . . . . . . . . . . 0.03-0.12
Glucos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70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2.2-3.9 mmol/L
Pressur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0-180 mm H2O . . . . . . . . . . . . . . . . . . . . . . . . 70-180 mm H2O
Proteins, tot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0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40 g/L
HEMATOLOGIC
Bleeding time (templa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minut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7 minutes
Erythrocyte cou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4.3-5.9 million/mm3 . . . . . . . . . . . . . . . . . 4.3-5.9 x 1012/L
Female: 3.5-5.5 million/mm3 . . . . . . . . . . . . . . . 3.5-5.5 x 1012/L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Westergren) . . . . . . . . . . . . . Male: 0-15 mm/h . . . . . . . . . . . . . . . . . . . . . . . 0-15 mm/h
Female: 0-20 mm/h . . . . . . . . . . . . . . . . . . . . . . 0-20 mm/h
Hematocri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41%-53% . . . . . . . . . . . . . . . . . . . . . . . . 0.41-0.53
Female: 36%-46% . . . . . . . . . . . . . . . . . . . . . . . 0.36-0.46
Hemoglobin A1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6%
Hemoglobin, bloo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13.5-17.5 g/dL . . . . . . . . . . . . . . . . . . . . . 2.09-2.71 mmol/L
Female: 12.0-16.0 g/dL . . . . . . . . . . . . . . . . . . . 1.86-2.48 mmol/L
Hemoglobin, plas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4 mg/d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16-0.62 mmol/L
Leukocyte count and differential
Leukocyte cou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500-11,000/mm3 . . . . . . . . . . . . . . . . . . . . . . . . 4.5-11.0 x 109/L
Segmented neutrophil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4%-6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4-0.62
Band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3-0.05
Eosinophil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1-0.03
Basophil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7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0075
Lymphocyt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25-0.33
Monocyte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03-0.07
Mean corpuscular hemoglobin . . . . . . . . . . . . . . . . . . . . . . . 25.4-34.6 pg/cell . . . . . . . . . . . . . . . . . . . . . . . . 0.39-0.54 fmol/cell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 . . . . . . . . . . 31%-36% Hb/cell . . . . . . . . . . . . . . . . . . . . . . . 4.81-5.58 mmol Hb/L
Mean corpuscular volume . . . . . . . . . . . . . . . . . . . . . . . . . . 80-100 μm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0-100 fl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ctivated) . . . . . . . . . . . . . . . . 25-40 seconds . . . . . . . . . . . . . . . . . . . . . . . . . . 25-40 seconds
Platelet cou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0,000-400,000/mm3 . . . . . . . . . . . . . . . . . . . . 150-400 x 109/L
Prothrombin tim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5 seconds . . . . . . . . . . . . . . . . . . . . . . . . . . 11-15 seconds
Reticulocyte coun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5%-1.5% of red cells . . . . . . . . . . . . . . . . . . . . 0.005-0.015
Thrombin tim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seconds deviation from control . . . . . . . . . . <2 seconds deviation from control
Volume
Plasma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25-43 mL/kg . . . . . . . . . . . . . . . . . . . . . . 0.025-0.043 L/kg
Female: 28-45 mL/kg . . . . . . . . . . . . . . . . . . . . . 0.028-0.045 L/kg
Red cel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20-36 mL/kg . . . . . . . . . . . . . . . . . . . . . . 0.020-0.036 L/kg
Female: 19-31 mL/kg . . . . . . . . . . . . . . . . . . . . 0.019-0.031 L/kg
SWEAT
Chlorid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5 mmol/L . . . . . . . . . . . . . . . . . . . . . . . . . . . 0-35 mmol/L
URINE
Calci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300 mg/24 h . . . . . . . . . . . . . . . . . . . . . . . . 2.5-7.5 mmol/24 h
Chlorid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intake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intake
Creatinine clearanc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97-137 mL/min
Female: 88-128 mL/min
Estriol, total (in pregnancy)
30 w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18 mg/24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62 μmol/24 h
35 w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28 mg/24 h . . . . . . . . . . . . . . . . . . . . . . . . . . . 31-97 μmol/24 h
40 wks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3-42 mg/24 h . . . . . . . . . . . . . . . . . . . . . . . . . . 45-146 μmol/24 h
17-Hydroxycorticosteroids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3.0-10.0 mg/24 h . . . . . . . . . . . . . . . . . . . 8.2-27.6 μmol/24 h
Female: 2.0-8.0 mg/24 h . . . . . . . . . . . . . . . . . . . 5.5-22.0 μmol/24 h
17-Ketosteroids, tot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Male: 8-20 mg/24 h . . . . . . . . . . . . . . . . . . . . . . 28-70 μmol/24 h
Female: 6-15 mg/24 h . . . . . . . . . . . . . . . . . . . . 21-52 μmol/24 h
Osmolality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1400 mOsmol/kg
Oxalate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8-40 μg/m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90-445 μmol/L
Potassi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diet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diet
Proteins, tota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50 mg/24 h . . . . . . . . . . . . . . . . . . . . . . . . . . <0.15 g/24 h
Sodium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diet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diet
Uric acid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diet . . . . . . . . . . . . . . . . . . . . . . . . . Varies with diet
Posted by jinoh
수업2007. 7. 4. 03:38
Week 1

Generic name(일반명)  : FDA에서 인정한 한가지 이름
Trade name(상품명) : 제약사에서 붙인 이름
Class/Use(어떤데 사용되어지는지)
예 : acetaminophen/codeine(AAP) // Tylenol/Codeine // analgesic/antipyretic/opiate


The pregnancy risk category (PRC)
태반 통과약이 많다.
처음 내원시 가장중요한점은 임신여부를 물어보는것.
환자가 아직 임신여부를 모르단면 월경주기를 물어볼것..
보통 3-8주 사이가 태아의 장기가 생기는 아주 중요한 시기, 그 이전시기는 약물섭취가 태아에게 갈 확률이 적다..
배란이후 2주후 월경이 와야하는데 오지 않아..만약 임신이라면 3주째부터는 위험시기에 들어섬.
첫번째 임신주기(3단계로 나뉘는데 그중 첫번째)

FDA에서 정한 5가지 등급(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약..)
A 사람에게 실험이 끝난 안전한 시기
B 아직 모름, 동물에겐 실험이 완료
C 동물에겐 가능성이 보여짐
D 위험가능성이 있음 산모를 더 살려야 할경우에 쓴다
X 기형을 유발, 리스크가 가장 높음

예 : "살리도마이드" 임신오조의 처방으로 유명한 약이였다. 그러나 후에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것을 알았다. 태아의 기형이 유발됨(상체의 일부가 소실) ==>시판금지결정

미국에서는 임신20주가 지나면 환자의 권리로서 산모에게 치명적인 병에 걸렸을시 태아를 선택할수도 있음

유즙분비(수유시) 약의 선택에도 신중을 기해야 함.



Complete List of Abbreviations
처방전에 많이 쓰는 약어들

a.c.(ante cibium) 식사전에
a.d.(aurio dextra) 오른쪽귀에 약을 투여
a.l.,a.s.(aurio laeva, aurio sinister) 왼쪽귀
a.u.(auris utrae) 양쪽귀
b.i.d.(bis in die) 하루 두번(세번은 t.i.d.(ter in die))
D5W(dextrose 5% solution) 포도당 5퍼센트
D5NS(dextrose 5% in normal saline(0.9%)
div.(divide) 셋으로 나눠
HTN(hypertension) 고혈압
DM(Diabetes mellitus) 당뇨(90~100세 고혈압당뇨가 없음...-_-)
ID(intradermal) 붙이는 패치..(파스종류?)
IM(intramuscular; with respect to injection) 근육주사(보통 inj im)
inj.(injectio) 주입
IV(intravenous) 정맥주사
mEq(milliequivalent)
mg(milligram)
N.K.A no known allergies
N.K.D.A. no known drug allergies 알려진 알러지가 없음
NPO, n.p.o.(non per os) 6시간동안 아무것도 먹지말것
NS normal saline(0.9%) 보통 바닷물의 농도는 3%
1/2NS half normal saline(0.45%)
o.d.(oculus dexter) 오른쪽 눈
o.s.(oculus sinister) 왼쪽눈
o.u.(oculo utro) 양쪽눈
prn(pro re nata) as needed 필요할때만(예;해열제, 마약성진통제)
p.o.(per os) 경구섭취
p.r. by rectum 좌약
q.h.(quaque hora) 매시간마다
q.i.d.(quater in die) 하루 네번
q.o.d every other day
s(sine) without(usually written with a bar on top of the "s") - c(cum);with 처방시엔 s위에 줄긋기
S.O.B. shortness of breath(호흡곤란천식약들..)
stat(statum) 응급을요함 바로처방 (예;응급실 전혈검사)
tab(tabella) 환
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G.I. track 가 작용을 못할때..
V.S. vital signs 4가지(혈압, 맥박, 호흡, 체온)
정상치를 알아둘것 (혈압: 70-120, 맥박50-100/min, 호흡 10-20/min, 체온 95~100F 35~37.7C)



약물투여의 2가지 차이점
경구와 비경구의 차이

비경구의 경우 먹을수가 없을 경우, 소아의 경우 먹이기가 힘들다-->좌약
좌약의 경우 대장으로 흡수되는데 어느정도 문맥을 피할수 있다는 이점도 있음(이때는 SMV)
인슐린, 홀몬제도 비경구
가장 흡수가 빠른 순으로 나열하면 1. iv(정맥주사) 2.im(근육) 3.sob(흡입약)
또한 위장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약의 경우 비경구제를 이용
-->여러가지 상황을 보고서 결정하는것이 중요

약물의 배설되는 시간에 따라(반감기) 경구투여의 횟수가 결정됨
예)반감기가 8시간이라면 3번섭취, 24시간이라면 1번



사설...
보통의 양약은 체내에 축적되지 않음 언젠가는 배설된다는 이야기...
만약 축적된다면 그것은 약물로서의 기능을 못하는것이라고 봐야됨

알러지나 부작용이 발생되면 복용 약물을 끊는것이 가장 중요하다
마약의 내성-tolorance 박테리아내성-resistance (<=용량을 늘려야 할경우)

**blood-brain-barrier(BBB)
혈액의 뇌 유입은 Astrocyte가 있어 아주 맑은 액체만 통과할수있도록 꽉조여
왠만한 약물은 통과를 하지 못한다. 그러나 사용해야될경우는 지용성의 약을 사용

서양의 약물은 60%가 생약에서 많이 왔다. 그 예로 아스피린의 탄생. 150년전 류마토이드 통증이 자주있던 독일지방의 바이엘사 버드나무 가지가 통증을 완화시킨다는걸 알아냄 "호프만"이란사람이 분석을 해 아세틴 셀리시드acid(진통효과에대해) 벤젠과 화합 탄생하게 됨

paracelsus
약리학의 아버지 1400년대, 보통 이시대에는 연금술사가 많았다.
화학에 대한 지식을 인체에 적용했는데, 그가 남긴 유명한 말이 있다...
"독이 아니면 약이 아니다" (모든약은 부작용이 항상있다)
그 예로 아스피린의 경우 신장에 독성이 심하다. 아스피린의 경우 혈액응고질환의 가능성을 줄여줘 현대인들이 많이 복용하는데, 협심증이나 뇌졸증의 가능성을 줄여준다. 81mg(한알의 용량) 그러나 반대로 혈액응고가 잘 일어나지 않아 대출혈시, 수술시 응고가 이루어지지 않을수 있다. 와파린??

독약과 극약의 구분
LD50 극약 300mg/kg 이하 , 독약 30mg/kg


목표 : 한약과 양약의 상호효과 예)이뇨제의 복용중 복령을 같이 복용한다면 shock가 올수있다..(ca)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6. 30. 14:10
사용자 삽입 이미지

WWDC때.. 데모영상으로 나왔었죠...
긴~~ 예고편도 봤었는데...그래서 더 보고싶었던 라타투이...
어찌하다보니 개봉일에 보게 됐네요 ^^;;

사용자 삽입 이미지

끝에 e가 하나 빠졌네요;;

장소는 플러튼 AMC.. 항상가는곳은 아니구 첨가는곳인데 상영관이 20개나 되더군요;;;
시간은 1시50분꺼....
극장안에는 역시나 사람이 썰렁~~ 금요일 한 낮이라서 그런가요??ㅎㅎ
ㅎㅎ 덕분에 편하게 즐겼습니다..

뭐.. 대략의 내용은 후각과 미각이 남달른 Rat~!, 래미...
실력은 형편없지만 맘씨만은 착한 요리사 링귀니~
요리의 본고장인 파리에서 벌이는 요리이야기 랄까요??
더 이야기 하면 스포가 될거 같아서 ^-^

정말이지.. 파리의 야경은 최고였어요...어쩜 CG인데도 그리 잘만들었는지...
주위에서 다들 탄성이... ㅎㅎㅎ
인터넷 평들은 대략 5점만점에 4.5정도 아직까지는요 ^-^ 오늘 개봉했으니..
더 두고 봐야겠지만, 그래도 다들 재밋다는 평이네요..

Posted by jinoh
생활 여행2007. 6. 23. 18:49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엘파바, 글린다


이게 얼마만의 문화생활인지 모르겠습니다.ㅠㅠ
예전 뉴욕여행갔을때 못봤던 wicked!!
LA 투어중이라고 해서...언젠가 한번 꼭 가야지 하고 마음 먹었었거든요..
방학이고 해서 보러 가기로 마음먹었답니다..
티켓마스터로 예약, 그리고 자리는 제일 싼 좌석; 대략 55달러정도 들은것 같아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cked 공연중인 판타지 극장~ 내년 초까지 계속 한다구 하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Wicked 무대 시작하기 전에 살짝...












































오즈의 마법사 이전의 이야기라고 하는데,,
죄다 영어라 어떻게 알아듣긴했는지 모르겠지만
대충의 스토리는 글린다랑 엘파바의 우정을 그린건 알겠네요 ^^;;
그리고 양철인간의 탄생도 대충은 알았구요..ㅎㅎ

원래 뮤지컬은 음악이 좋아서 가는게 아닌가요??(저만...ㅎㅎ)
처음으로 뮤지컬 본게 브로드웨이에서 맘마미아 였는데요..
맘마미아는 정말 재밋었죠 ㅠ_ㅠ// 음악자체가 워낙에 친숙해놔서..
그리고 배우들이 어찌나 노랠 하면서도 대사전달을 또릿또릿하게 잘하는지...

결론은..
예습을 해간 덕분에!! (ost를 미리 살짝 듣구 갔져 ^^)
아주아주 재밋게 보고 왔습니다!!
특히.. 글린다의 파퓰러송!! 아아 너무 좋았어요!!
눈물이 날정도로 좋았어요!!!!!

이참에 오즈의 마법사나 구해다 봐야겠습니다..^0^



<투어 트레일러 : 출처는 youtube>


<defying gravity : 출처는 youtube>
이노래도 정말정말 좋습니다...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6. 23. 03:26
티스토리도 시작했고 애드센스도 해볼까 해서 했는데....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결국은 포기했습니다 ㅠ_ㅠ

세금이라는 난관에 봉착했기때문이죠 ㅠㅠ

승인은 다 받았습니다..

그러나 지급보류 이건 풀지 못하겠네요 ㅠ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세금설정에서 보통은 다들

"미국내 활동없음" 이것으로 끝나지만..

전 조금 다르네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컨텐츠를 생산하는자가 미국에 있을경우"..에 해당하네요 ㅠ_ㅠ

그러면 마지막 페이지에서..."IRS 양식 8233" 이게 떠버리죠 ㅠ_ㅠ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식 8233을 제출하기 전에 다음 필수정보를 기재했는지 확인하십시오.

미국 납세자 확인번호 .. 네 있습니다
(학교에서 일을 하기때문에 학교측에서 세금보고를 위해 만들어줬죠)

제공중인 개인 서비스에 대한 설명, 원청징수 면제요청을 정당화.....
이게 어렵네요 ㅠ_ㅠ 이거 분명 IRS직원들 설득해야되는거죠?

그리고, 제 SSN(소셜넘버)에는 학교 외에는 일을 할수 없다.. 이렇게 못박혀 있단말이에요..ㅠㅠ
다른 방편을 찾아보았지만 CPA(세무사)랑 상의 해보라네요.. 에휴..

그래도 하기 싫어 안하는거랑 하고싶어도 못하는거엔 분명 차이가 있죠..
더군다나 돈이 걸린건데 ㅠ_ㅠ!!!

한국에 계신분들 부러워요!!!!!

그래도 이왕 이렇게 된거 광고한번 넣어봐야겠습니다 ㅠ_ㅠ//

Posted by jinoh
카테고리 없음2007. 6. 20. 17:06
하숙집 생활중에 ㅠ_ㅠ 안좋은 점이랄까나...
TV 는 케이블도 아닌 안테나로 시청하는 중...그나마 제방은 3층에 있어서 잘 나오긴하지만요..
역시나 케이블TV만 못하죠 친구집에서 티보를 본순간 너무나 좋은 나머지 집에 갈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계속 TV에 빠져드는 저 ㅠㅠ

그런데...며칠전에 인가?
allblog 에서 joost 포스팅된 기사를 보고서...헛.. 드디어 인터넷으로도 티보같은!!
얼른 joost의 홈페이지로 접속 했습니다...

그러나, 기대했던거와는 달리 ㅠㅠ
홈페이지에는 다른 블로거들의 추천 메일만으로 다운로드 페이지를 열수 있게 되있었습니다.
예전의 gmail과 같이..

뭐.. 오늘에서야 운좋게 어떤분의 초대장으로 joost를 체험!!
하아... 이건... 정말이지... 제겐 혁명에 가까웠습니다..

joost 첫시작화면


사용자 삽입 이미지

채널 캐덜로그


이로서... 제겐 티보도,, 컴캐스트따위의 케이블tv가 필요 없는겁니다 ㅠ_ㅠ!!
화질도 대 만족!! 역시 미국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인지는 몰라도....속도는 좋았습니다!! /ㅁ/
(보통 미국서버를 통한 속도는 10mbps는 나오거든요..한국은 좌절이지만..)
 
그리하여 오늘 그냥 컴퓨터로 뭐.. 계속 틀어놓고 다른짓하고 그랬;;;
fifth gear도 재밋고 ㅠ_ㅠ 네셔널 지오그래픽의 에어포스원다큐는 그야말로 수작!!!
코미디 방송에... 로이터까지 있다니 ㅠ_ㅠ!!! 이건 정말 케이블tv가 안부럽
 
인터페이스 정말 미려하고 말이지 ㅠ_ㅠ
 
다 못알아 들어도 완전 사랑스러워.. joost!!
Posted by jinoh
생활 여행2007. 6. 17. 07:58

지금 여기는 LA 센트럴 도서관 입니다.

현재 바깥의 온도는 77도 이정도면 한낮치고는 시원한 편인데 말이죠...
느낌상으로는 90도 처럼 느껴진다 이말이에요..

이번주에만 두번이나 왔네요..
화요일에 한번 왔었고, 오늘이 토요일이니깐 ;ㅁ;

화요일엔 학교도서관에서 어찌나 공부가 안되던지;; 그냥 바람도 쇨겸 하다가..센트럴 라이브러리 생각이나서... 갔습니다.. 근데..다운타운이 워낙 주차하기가 힘든곳이라.. 그냥 안가려고 했었지만..
3시 이후엔 도서관 문닫을때까지 $1 만 내면 된다기에 달려갔죠~~
그리고 토, 일요일은 하루종일 $1

덕분에 이 더운 오늘 도서관으로 피서아닌 피서를 오게 됐죠 ^-^

무선인터넷도 공짜고 속도도 빠르고 ㅠ_ㅠ// 최고네요..
한가지 주의할점은~ 도서관 안은 추우니 긴팔을 꼭 챙겨야 된다는거..
(긴팔입구 있는데도 무지 춥습니다 ㄷㄷㄷ)

사용자 삽입 이미지

발로찍었어요 ㅈㅅ

Posted by jinoh